현재 부산광역시 기장군에는 운행 중인 원자력발전소가 6기, 건설 중인 원자력발전소가 4기가 위치해 있는데 그 중 고리원전1호기는 지난 1978년 4월2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로, 이미 그 수명 30년을 넘었지만 지난 2008년 10년간 재가동이 승인돼 운영되고 있다.

작년 12월30일 부산 녹산공단에서 자연 상태의 40배, 기준치의 20배가 넘는 방사선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3월의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지 만 1년도 채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사고라 부산 시민의 불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현재 부산광역시에는 가동중인 원전이 6기, 건설중인 원전이 4기가 있는데 이 중에는 지난 1978년 운전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인 고리원전 1호기가 포함됐다. 

정부는 지난 7월4일 제5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개최해 고리1호기의 재가동을 결정했으나 고리1호기의 원자로는 1979년 미국 드리마일 원전사고 발생이후 국제적으로 원전의 안전기준이 강화되기 이전에 건설된 것이라는 약점이 있다.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고리원전 1호기의 크고 작은 고장건수는 지난 1978년 이래 총 129건, 2008년 재가동 이후만 해도 4건이 발생했다.

현재 부산 기장군에는 고리 1~4호기와 신고리 1,2호기 등 원전 6기가 가동 중으로, 이는 국내 전체 원전(23기)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8~10㎞를 비상계획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어 고리 원전에서 사고 발생시 3만명이 영향권에 포함된다고 보지만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권고기준인 원전 반경 30㎞로 확대해보면 부산, 울산, 경남 일부 지역까지 포함돼 342만명의 인구가 영향을 받게 된다.

비상계획구역은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일어났을 때 피해 거리를 예측해 미리 대피소나 방호물품, 대피로를 준비해야 하는 지역이다.

백재현 국회의원(민주통합당, 경기 광명갑)은 “고리 원전 안전 문제는 기장군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부산 시민 전체의 문제”라며 “국제원자력기구, 그린피스가 권고하는 기준인 30㎞로 확대해보면 부산 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 등 부산 대부분의 지역이 영향권에 들어가고 부산시청도 고리 원전으로부터 25㎞ 떨어져 있어 영향권에 포함되는데 그동안 원전 사고에 대해 부산시의 준비가 너무 안이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10월17일 설명했다.

백재현 국회의원은 또 “세계적인 추세는 탈핵·대체에너지 개발로, 이미 수명을 다한 원전부터 순차적으로 폐쇄가 바람직하다”며 “고리 1호기는 노후화는 물론이고 잦은 고장으로 부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 최근 정부가 기장군을 ‘사용후 핵연료’ 처분시설 후보지역으로 검토했다는 사실까지 전해져 부산시민의 걱정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재현 의원은 이어 “당장 일률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모든 원전을 없애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수명을 다하고 지속적인 고장을 일으키는 고리 원전 1호기의 폐쇄는 부산시민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이라며 “고리1호기 폐쇄를 위해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