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국회의원(민주당, 안전행정위원회)은 10월18일 중앙119구조본부에서 실시된 소방방재청 국정감사에서 “소방관들이 화재 현장에서 착용하는 방화복의 52%가 열에 취약한 상태”라며 “화재현장에서 사용 중인 소방관들의 방화복 6만882벌 중 3만1678벌이 화상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데도 소방방재청에서는 예산부족 핑계로 내구연한이 지난 일반방화복을 입히고 소방관들을 화재현장에 출동시켜 왔다”고 지적했다.

소방방재청이 화재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들에게 지급되는 방화복은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검은색의 일반방화복이고 다른 하나는 황토색 계열의 특수방화복이다. 둘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일반방화복의 경우 내열온도(제품이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한계온도)가 220℃에 불과한 반면, 특수방화복은 내열온도가 400℃에 달해 화재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능성이 2배 가량 차이 난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열방호성능시험(열에 대한 방호능력 실험) 결과, 특수방화복은 성능값이 31.7인데 반해 일반방화복은 25.9에 불과해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방호성능이 30미만이면 화염이 최대치로 올라가는 플래쉬오버 상황에서 2도 이상의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열방호성능 시험 결과 사진을 보면 명확하게 드러난다. 일반방화복은 불에 의해 타서 쉽게 부서지는 반면, 특수방화복은 어느 정도 열에도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09년 인천 대우일렉트로닉스 화재 현장에서는 일반방화복을 입고 진압에 나섰던 소방대원이 방화복 손상으로 2~3도의 화상을 입은 경우도 있다.

현재 전국 소방관서에 지급돼 있는 방화복은 총 6만882벌이다. 이 중 52%인 3만1678벌이 일반방화복이다. 이마저도 모자라 기준 소요량을 못 채우는 시․도가 9곳(서울, 부산, 대구, 세종, 충남, 전남, 전북, 경북, 경남)에 이르고 있다.

특히 광주, 강원의 경우 일반방화복 비율이 각각81%, 84.2%에 이르고 있어 소방관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방화복이 대부분 내구연한이 지난 제품들이라는 데 있다.

특수방화복 보급 시점은 2010년이다. 방화복의 내구연한은 3년이다. 3년이 지나면 기능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2010년 특수방화복이 도입되고, 2010년 하반기에는 일반방화복을 지급하지 않고 있으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방화복의 대부분이 내구연한이 지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소방방재청은 예산부족을 핑계로 일선 소방관들에게 부실한 장비만을 던져주고 화마 속으로 뛰어들라고 종용하고 있다.

화재가 일어나면 발화원인과 유형에 따라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한다. 또 방화복 자체가 기능성 의류이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소방국가에서는 방화복 관리를 위한 전용 세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방화복 세척 및 정비에 관한 기본적인 매뉴얼도 없다.

진선미 의원은 “방화복 전용 특수세탁기를 보유하고 있는 시·도는 부산을 비롯한 8곳에 불과하고 그나마 보유대수도 19대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이런 이유들로 대부분 소방서에서는 일반 세탁기를 사용해 방화복을 세탁·탈수해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럴 경우 방화복의 기능성은 현저히 저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