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정릉(도심권)․영천(서북권)․신창(동북권)․신원(서남권)․길동(동남권) 5개 시장을 서울시내 전통시장의 변화를 이끌어 나갈 권역별 선도시장으로 선정, 2016년까지 각 시장의 상인회, 자치구, 지역주민과 함께 ‘서울형 신(新)시장’으로 육성한다고 11월19일 밝혔다.

과거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하드웨어 위주, 관 주도로 지역경제와 분리된 채 시장 자체에 대해서만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전통시장과 마을기업, 협동조합까지 함께 참여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시장의 컨셉을 정하고 발전 밑그림을 그려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게 된다.

이로써 우리 동네 시장을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 아닌 지역경제의 생태계 중심공간으로 자리매김 시키는 것이 서울형 신시장의 핵심 내용이다.

예컨대 협동조합․마을기업의 청년 상인을 시장 안으로 유입해 소비자 트렌드에 걸 맞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수혈하며, 경영․마케팅․문화기획 등 분야별 전통시장 매니저를 4배 이상 확대 투입해 시장마다 필요한 전략 수립을 전문적으로 돕게 된다.

어느 나라나 전통시장엔 관광객들의 발길이 머무는 만큼, 시장과 장인의 숨은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화, 장인점포는 브랜드화 하고 관광코스 개발과 전통시장 관광지도 제작을 통해 전통시장도 한류관광 명소 반열에 올린다는 계획.

아울러 티머니형 신용카드 도입 검토 등 결재환경 간편화를 추진하고, 전통시장의 고질적 문제였던 3불(불친절․불결․불신)해소를 위한 가격․원산지 표시제 정착 유도, 체계적 정기 위생검사 등도 추진해 소비자와 상인 모두가 반기는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전통시장 정책전담기구이자 컨트롤타워인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를 설립하고, 전통시장 상인 교육 및 사랑방 역할을 할 ‘서울전통시장 상인회관’을 만드는 한편, 중간조직으로 민간전문가+상인+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컨설팅단과 사업단 등을 구성해 전방위 지원 체계도 갖추게 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대책인 ‘시장-다시살림-프로젝트’를 11월19일 발표, 다각도의 어려움에 직면한 전통시장을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기찬 지역 경제의 중심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통시장의 약 64%가 역세권에 위치해 있어 지역민의 접근성은 높으나 대형마트나 백화점, 기업형슈퍼마켓(SSM) 등 유통업체 영향권에 있는데다 소비자트렌드에 뒤떨어진 운영, 시설노후와 고객서비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는 이번 종합대책을 5개 선도시장에 3년간 집중 적용해 지역별 선도적 성공모델을 만들고 이를 전파․확산시켜 2020년엔 서울시내 주요 골목시장을 서울형 신시장으로 점차 탈바꿈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모델시장 중 특성화된 분야에 대해선 협동조합으로의 설립도 유도해 향후 유사품목 공동생산․공동판매 등 상생의 경제를 도모한다.

이와 관련해 전통시장상인회(함1)와 자치구(함2), 서울상인연합회(께1), 서울시(께2)는 같은 날 서울광장에서 제1회 전통시장 박람회 개막식에 앞선 오전 11시 공동협약을 맺고 이번 대책을 함께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갑’-‘을’ 수직구조가 아닌 동등한 협력관계에서의 상생 협약이다.

5개 권역별 거점시장은 컨셉을 ▴성북구 정릉시장: 지역커뮤니티와 함께하는 창조시장 ▴서대문구 영천시장: 주변관광자원의 이야기가 넘치는 관광시장 ▴도봉구 신창시장: 즐길거리 넘치는 마을시장 ▴관악구 신원시장: 주변상권과 함께 성장하는 마을시장 ▴강동구 길동시장: 한 번 가면 단골이 되는 마을시장으로 정해 내용을 구체화해 나가게 된다.

이들 거점시장은 서울시가 지난 6월 실시한 전통시장 현장시장실 및 경진대회를 거쳐 선정된 곳들이며, 종합대책 역시 현장시장실을 비롯해 시장을 직접 찾아가 여건을 확인하고 전문가들과 토론을 통해 도출된 실질적 방안이다.

이 과정에서 상인들 스스로도 학습하고 변화할 필요성을 느끼게 돼 추진력이 한결 높아졌다고 시는 밝혔다.

이 때 시는 큰 틀에서의 방향성을 ‘작지만 시장을 살리는 10가지 변화’라는 세부추진계획으로 담아 시민들이 체감하고 시장 상인들에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변화를 이뤄 나간다고 밝혔다.

첫째, 서울시는 교통정책에 도입해 성공을 거둔 T머니와 같이 간단한 결제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신용카드 보편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현금결제 중심에 머물러 있는 현재 환경을 개선해 시민 불편을 덜고 상인 매출에도 보탬을 주기 위함이다.

둘째, 판매대 개선, 접이식 지붕, LED조명 설치 치원과 시장입구 아치형 간판 설치 등 등 청결하고 편리한 시장 인테리어로 시민 발길을 유도한다.

셋째, 서울시 뉴딜일자리의 일환으로 경영‧마케팅‧문화기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시장 매니저를 올해 14명에서 내년에는 64명까지 확대 투입해 전문성 있는 변화를 꾀한다.

넷째, 협동조합‧마을기업 육성을 통해 청년 상인을 시장 안으로 유입, 젊고 활력 있는 시장을 조성한다.

다섯째, 시 차원의 위생 감독을 넘어 서울보건환경연구원에서 전문적․체계적인 정기적인 위생 점검과 함께 정기 대청소, 화재안전점검 등의 환경도 개선으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섯째, 전통시장의 고질적 문제였던 3不, 이른바 불친절‧불결‧불신을 없애기 위해 친절한 응대, 가격 및 원산지 표시제 정착 등을 실시해 시민이 상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든다.

일곱째, 지하철‧버스‧가판대 등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홍보매체는 물론 각 지역 케이블 방송을 활용해 생생한 전통시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소통채널로 전통시장 마케팅을 강화한다. 정류장 명칭에 시장명을 더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여덟째, 시장과 상인의 숨은 이야기를 발굴해 이야기가 있는 시장을 만들고 장인점포는 발굴‧지원해 브랜드화도 추진한다.

아홉째, 주변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전통시장 관광지도를 만들어 전통시장을 한류관광 명소로 만든다.

열 번째, 건강검진, 재무상담, 청결한 화장실과 쉼터 등을 통해 상인의 복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전담기구이자 컨트롤타워역할을 할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를 설립해 조사, 연구 및 평가, 시설 및 경영현대화사업에 대한 자문과 상담, 그리고 상인대상 교육 및 정책개발 등 서울형 신시장 모델 확산에 나서게 된다.

또 ‘서울전통시장 상인회관’도 만들어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경영기법 등의 교육도 실시하고 시장 내 정보는 물론 시장매니저와 시장닥터 들의 노하우도 공유할 수 있는 사랑방 역할을 하도록 한다.

특히 이번 대책에선 전문성을 가진 민간전문가와 지역의 특성 사정에 밝은 상인과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컨설팅단 및 사업단 등 중간조직을 구성해 지역 특성과 전문성을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서울시는 이번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의 정책 효과로 ▴전통시장 통합 홍보, 관광정책 연계를 통한 방문객 증가와 브랜드가치 상승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꼽았다.

일자리의 경우 시장매니저를 비롯한 관련 일자리가 생겨나고, 장기적으로는 시장 내 마을기업, 협동조합, 청년창업 등 지역경제기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전통시장 내에 어린이놀이공간, 시장문화공간, 마을예술창작소 등 지역공동체의 생활문화공간을 활성화해 지역주민과 상인 등 지역공동체의 행복지수도 높아지게 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통시장이 다시 살려면 상인이 서야 한다. 서울시와 상인들이 공동 협약을 한 이번 정책은 실질적으로 상인을 살리고, 시장을 살리고, 지역을 살리는 정책이 될 것”이라며, “먼저 5개 시장을 통해 시장 성공시대를 만들고, 그 모범을 전체 전통시장으로 확산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세이프투데이 전영신 기자(tigersin@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