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문화재, 원자력발전소, 일선 학교, 체육·문화시설 등 국가핵심 시설물과 다중이용시설의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불량 불꽃감지기 유통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K사가 생산한 불꽃감지기 중 불량으로 판명되어 교체·폐기 대상 12개 형식 제품은 1만5367점이었고 이 중 소방방재청이 조사한 것은 고작 351개 기관 4845점으로 파악돼 1만522점의 불량 불꽃감지기의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까지 K사는 2만3152점의 불꽃감지기, 시가 약 463억원(점당 200만원 가정) 상당을 시중에 유통시켰다.

진선미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 비레대표, 안전행정위원회)은 소방방재청에서 제출한 국감자료를 분석한 결과 ‘K사는 2006년부터 불꽃감지기를 2만5854점 생산했고 소방산업기술원의 제품검사에서 합격된 2만3152점(89.6%)이 시중에 유통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10월8일 밝혔다.

K사가 제조한 불꽃감지기 중 2702점(10.4%)은 제품검사에 불합격됐다.

K사에서 생산된 불꽃감지기 중에서 현재까지 불량 불꽃감지기로 판정된 것은 12개 형식으로 시중에 유통된 2만3152점 중 66.4%인 1만5367점으로 전량 교체·폐기해야할 대상이다.

K사가 보유하고 있는 29개 형식(형식 취소 6개 포함) 중 17개 형식 7785점에 대해서는 현장에 설치된 1000여개의 샘플을 확보해 성능확인시험을 통해 불량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소방방재청에서 조사한 12개 형식의 불량 불꽃감지기는 351개 기관에 4845개로 파악됐다. 시중에 유통된 K사의 12개 형식의 1만5367점의 불량 불꽃감지기 중에서 31.5%인 4845점만 실태파악이 됐고 1만522점의 불량 불꽃감지기가 어느 곳에 설치돼 있고 중간 판매상에서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는 상태이다.

소방방재청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12개 형식의 불량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곳은 포스코 등 일반기업이 3542점(216개 업체)으로 가장 많았다. 신고리발전소 등 공공기관에 830점(36개 기관), 경복궁 등 문화재에 259점(37개 문화재), 초중고 등 교육시설에 112개(42개 기관), 동작구청 등 정부기관에 102점(20개 기관) 등이다.

소방방재청은 형식이 변경된 불량 불꽃감지기에 대해 K사에 대해 교체 폐기명령(2014년 8월20일)을 내렸지만 대표 등이 구속돼 있고 영업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로 해당 업체의 자발적인 교체·폐기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선 교체 후 구상권 청구’ 방침을 정하고 국가 주요 핵심시설에 설치된 1015개 불량 불꽃감지기에 대해서만 우선적인 교체를 추진하고 있고 10월7일 현재 73대(7.2%)만 교체를 완료했다.

K사는 29개 형식(취소된 형식 6개 포함)의 불꽃감지기를 보유하고 있고 시장점유율 31.2%인 국내 최대 불꽃감지기 제조업체이다. K사는 형식승인과 제품검사를 정상적으로 받은 후에 값싼 회로 부품으로 교체해 시중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불량 불꽃감지기는 경찰수사과정에서 밝혀진 8개 형식(감08-41,감09-34, 감10-63, 감10-72, 감11-24, 감11-24-1, 감11-31, 감13-40)과 이후 성능확인시험에서 확인된 4개 형식(감08-15, 감10-60, 감10-62, 감11-33) 등 12개 형식이다.

진선미 의원은 “아직 불량여부가 판명되지 않은 K사 17개 형식 제품들에 대한 성능검사를 조속히 마쳐야 하고 K사에서 시중에 납품한 불꽃감지기 장부를 확보해 중간판매상이 보유하고 있는 것과 각종 시설에 설치된 불량 불꽃감지기 전량을 회수해 폐기처분 시켜야 할 것”이라며 “소방용품의 검·인증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희대의 사기극이 벌어진 만큼, 소방방재청은 검·인증 제도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을 통해 개선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