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만 벌써 8명이 경기도 유해화학물질 사고로 목숨을 잃은 가운데 종합적인 관리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10월2일 제기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박남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인천 남동갑)이 경기도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경기도의 유해화학물질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2건이었던 사고가 2013년 27건, 2014년 36건에 이르더니, 올해 7월까지 벌써 20건의 사고가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다. 2014년 전국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35%가 경기도에서 발생한 상황이다.

인명 피해 또한 늘어나 경기도에서만 최근 4년간 19명이 죽고 122명이 다쳤다.

경기도에는 총 2217개 업체에서 수백종의 화학물질을 연간 900만톤 이상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산, 화성, 시흥, 평택 등 대규모 공단 지역 중심으로 취급량이 많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안전 대책은 크게 미흡해 도 차원의 전방위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 경기도 화학물질 사고 유형을 분석해 보면 44%가 작업자 부주의로, 31%가 시설관리 미흡 등 총 75%가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했다.

경기개발연구원이 2014년 10월 도내 유해화학물질 사업장 805곳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9.6%(399곳)가 개인보호 장구, 중화약품 등 기본적인 안전 방제장비를 구비하지 않았고, 잠금 및 보안시설 미설치 사업장이 38.1%(307곳), 유독물 표기 및 안전표시 미실시 사업장이 38.4%(309곳)이나 됐다.

또 안전관리 책임자를 지정하지 않은 사업장이 55.7%(448곳)로 절반이 넘었으며, 운반 업무자에 대한 안전교육 미실시 사업장도 37.6%(202곳)나 됐다.

화학사고 발생시 현장 대응해야 할 소방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소방관이 착용하는 화학보호복 A급은 보유기준 1015벌의 50%인 502벌만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에 46.5%인 233벌은 내용연수가 경과하여 노후화됐다.

특히 1회용으로 긴급히 사용할 수 있는 C급 화학보호복의 경우 보유수량이 7%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해화학물질을 많이 취급하는 업체들이 집중되어 있는 경기도 산업단지 내 119 안전센터의 기본 소방장비중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40%까지 노후한 것으로 드러나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것만이 아니다. 경기도 교육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대표적 산업단지인 시흥과 안산에는 각각 73개교, 108개교의 학교가 있으나 이들 학교 주변에 위치한 산업단지에서 안전사고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제대로 된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변 학교의 방독면 구비 현황도 매우 부실했다. 시흥의 경우 방독면이 하나도 없는 곳이 73개교중 49개교(67.1%)였으며, 11~50개 이하로 비치한 곳이 9개교(12.3%), 10개 이하로 비치한 학교가 15개교(20.5%)로 나타났다.

안산도 108개교 중 33개교(30.6%)가 방독면이 전혀 없었고, 수원도 197개교 중 163개교(82.7%)에 방독면이 비치돼 있지 않았다.

박남춘 의원은 “최근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도 취급자, 관계 당국, 국민들이 막연한 불안감 외에 철저한 준비 태세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경기도는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비와 관련한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특히 “취급자에 대한 전방위적인 안전관리 강화와 산단 주변 소방관서의 화학사고 대비 소방장비의 충분한 확보, 주변 학교의 화학사고 대비 보호장비 구비는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