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가 일선 화재현장에서 효율적인 진압과정을 위해 무인방수 로봇을 업그레이드한 후 실전 배치했지만 실제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나왔다.

홍철호 국회의원(새누리당, 경기 김포을, 안전행정위원회)은 국민안전처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무인방수로봇의 최종 업그레이드 버전인 제3차 소방로봇의 경우 지난 2014년 4월 울산과 경남에 1대씩 배치된 직후 4차례만 활용하고 최근 2년 동안의 출동횟수는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9월18일 밝혔다.

경남 김해소방서에 배치된 소방로봇은 배치일 이후 현재까지 관할 지역에서 총 593건의 화재가 발생(월평균 23.7건)했지만 실제 출동한 횟수는 단 1회(월평균 0.04회)에 그쳤다.

울산 온산소방서의 경우는 동일기간 관할지역에서 365건의 화재가 발생(월평균 14.6회)했지만 소방로봇은 단 3회(월평균 0.12회)만 실전 출동했다.

특히 두 로봇 모두 지난 2014년 4월에 배치된 이후, 각각 동년 7월, 8월, 9월에만 ‘보여주기식으로 출동’한 후, 2015년과 올해에는 출동한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3차 소방로봇은 기존 제1차 소방로봇(제2차 사업은 제1차 사업의 고도화·관리 사업)이 자체 소방펌프 기능이 없어 소방차  없이는 현장 활동이 불가했던 점을 고려해 자체 소방펌프 및 포소화 시스템을 탑재한 업그레이드 버전의 로봇이다.

또 기존 투입 과정상 어려움이 있었던 소규모 공간 및 장애물에 대한 주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전용차량 운용을 통한 독자적인 현장 활동이 가능한 상태로 개발됐다.

제3차 소방로봇의 개발비는 정부예산 5억원이 투입됐으며 1대당 가격은 1억5300만원에 달한다.

일선 소방현장 관계자는 많은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활용률이 저조한 이유에 대해 ‘장애물 극복능력에 제한이 있는 기술적 한계점’과 ‘잦은 고장’ 등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1차 소방로봇 중 화재정찰로봇의 경우 2011년 12월 총 42대의 로봇을 4억4000만원(1대당 1065만원)을 들여 개발 및 배치했지만 성능미달 등으로 실제 화재현장에서 한 번도 쓰인 적이 없어 지난 2월 감사원의 지적까지 받은 바 있다.

무인방수로봇 역시 16대가 배치(1대당 1억1000만원)됐지만 실전 총 사용횟수는 단 3회에 그친다는 문제제기가 나온 바 있다.

즉 제1차 소방로봇의 ‘기술적 미달 및 한계점’이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3차 소방로봇 개발이 추진된 것이다.

홍철호 의원이 ‘「제3차 소방로봇 고장내역’ 등을 확인한 결과, 무선조작, 방수포, 카메라, 충전기, 배터리, 메인스위치 및 동력펌프 등에 총체적 문제가 있어 2년간 총 16차례나 수리(김해 11건, 울산 5건) 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로봇 사업은 1차 소방로봇 개발에 국가예산 25억원이 쓰인바 있고, 2차 관리사업에 2억5800만원, 3차 소방로봇에도 5억원이 투입되는 등 결과적으로 총 33억원에 가까운 혈세가  낭비됐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워졌다.

국민안전처는 내년 4월에 소방로봇들을 정부에 반납하고 향후 추가적인 로봇사업은 현재로써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홍철호 의원은 “경제·산업적으로 저성장 시대에 접어든 현 시대적 상황상 로봇산업은 지속 발전 가능한 몇 안되는 신성장동력산업이다. 로봇산업이 ‘보여주기식 전시행정 사업’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산자부 등이 중심돼 ‘정부 로봇개발 추진 사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한 후, 관련 개선방안과 ‘로봇발전 마스터플랜’을 조속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