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운행 중인 자동차 가운데 리콜대상임에도 수리를 받지 않은 채 도로를 달리는 ‘결함 차량’이 72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리콜 명령을 받은 차량은 390만대에 육박하지만 시정률은 81%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정용기 국회의원(새누리당, 대전 대덕구, 국토교통위원회)은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동차 리콜 현황 및 시정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제작결함 때문에 리콜 명령이 내려진 자동차는 총 387만3880대였다고 9월20일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올해 6월 기준 자동차 등록대수 2146만4224대를 기준으로 보면, 자동차 100대 중 18대(18.05%)가 리콜 대상 차량인 셈이다.

2011년 26만8658대, 2012년 20만6237대 등 연간 20만대 수준이던 리콜 대상 차량은 2013년 103만7151대로 급증했으며 작년에도 103만2906대를 기록해 연간 자동차 리콜 ‘100만대 시대’로 접어들었다. 올해도 8월까지 45만9120대의 차량이 리콜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같은 기간 리콜 시정률은 약 81%에 불과했다.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리콜 명령을 받은 차량 380만2635대 중 72만5549대(19.08%)는 리콜 판정을 받고도 아직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자동차 제작사 등은 1년 6개월 이상 제작결함 시정조치를 하며 분기마다 진행 상황을 교통안전공단에 보고해야 한다.

국내 완성차업체 중 리콜 시정을 가장 성실하게 이행한 곳은 르노삼성자동차로 시정률이 88.93%로 나타났다.

이어 기아자동차(85.82%), 쌍용자동차(81.44%), 현대자동차(79.55%), 한국지엠(78.33%) 순이었다.

수입차업체 중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96.54%로 가장 높은 시정률을 기록했고, 푸조·시트로엥의 공식수입원인 한불모터스(90.76%), 볼보자동차코리아(86.08%)가 뒤를 이었다.

반면 혼다코리아(59.08%)는 시정률이 절반 수준으로 부진했다.

특히 리콜이 실시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시정률이 절반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었다.

BMW코리아는 2013년 12월에 750Li 차량 233대에 대해 주행 중 문이 열릴 수 있는 문제로 리콜 명령을 받았으나 현재까지 리콜을 이행한 차량은 33대로 파악됐다. 200대(85.8%)의 차량은 여전히 안전문제를 지닌 채 운행 중인 것이다.

정용기 의원은 “아직 수리를 받지 않은 72만대의 결함 차량이 사고 위험을 안고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데, 안전을 위해서 국토부와 자동차회사가 리콜 시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리콜 차량이 증가하는 만큼 리콜 비용이 증가할 것이므로 장기적으로는 차량 가격에 반영이 될 우려가 있다”며 “자동차의 리콜 증가가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