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부산에서 발생한 화재가 2199건에 달하는 등 부산 지역에서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부산의 소방차 진입불가·곤란구간 중 89%에 달하는 구간에는 비상소화장치 조차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의원(행정안전위원회, 인천 남동 갑, 인천시당위원장)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산 관내 소방차 진입 불가, 곤란 구간은 206곳(681km)로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많았다고 10월24일 밝혔다.

그 중 시민이 거주하는 주거지역이 157곳(7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상업지역이 42곳(20.4%), 공업지역이 6곳(2.9%), 농어촌·산간·도서지역이 1곳(0.5%)등으로 뒤를 이었다.

더욱이 소방차 진입불가·곤란구간 206곳 중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된 곳은 단 24곳(11%)으로 진입불가·곤란구간이 2곳 밖에 안 되는 세종시를 제외하면 설치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부산 소방공무원 10명 중 8명이 건강이상자이지만 보건안전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는 소방서는 부산에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2016년 부산 소방공무원 특수건강진단 결과, 진단을 받은 2824명 중 79.9%(2,256명)가 건강이상자에 해당했다. 같은 해 유해인자 노출업무에 종사하는 일반근로자(196만5645명) 중 건강이상자 비율이 22.6%(44만4520명)인 점을 감안하면, 부산 소방공무원의 건강이상자 비율이 화학적 인자·분진·물리적인자 등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보다도 무려 3.5배나 높은 것이다.

부산에서 발생한 소방활동 안전사고도 2012년 18건에서 2016년 30건으로 4년 새 66.7%나 급증했지만, 소방공무원의 공무상 요양 신청 지원 등 보건안전 업무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부서는 부산관내 11곳의 소방서 중 단 한 곳도 없었다.

부산본부의 경우 전담부서가 설치됐지만 5명의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어 부산 전체 소방공무원의 보건안전을 책임지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박남춘 의원은 “부산에 소방차 진입불가·곤란지역이 206곳이나 있다는 것도 문제이지만 이 중 비상소화장치조차 갖추지 못한 곳에 89%에 달하는 것은 심각하다”며 “이들 지역에 대해서 시급히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또 “소방관의 안전이 곧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소방관서에 보건안전 전담부서를 만들어 질병과 안전사고로부터 소방관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