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전인 1995년 6월29일 오후 5시57분 경 서울 서초구 서초동 소재 삼풍백화점이 무너져 내부에 있던 백화점 종업원과 고객 등 1445명이 죽거나 다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이 참사로 502명이 사망했고 937명이 부상, 6명의 실종자가 발생됐다. 국내에서는 단일 사건 최대 인명 피해로 기록됐고 세계적으로는 2013년 1000여명 사망한 방글라데시 라나플라자 붕괴사고 발생 전까지 건물 붕괴사고 사상 최다 사망사고로 꼽혔다.

사고 이후 정부는 1995년 7월 재난관리법을 제정해 재난관리체계를 법제화하고 지방자치단체에도 재난 전담 조직을 신설토록 했다. 대형 재난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따로 정비한 중앙119구조대가 서울, 부산, 광주에 신설됐다.

한국재난정보학회 이래철 회장, 김태환 수석 부회장, 석봉수 부회장, 이장원, 장수성 이사 등은 지난 7월1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시민의 숲’에 삼풍백화점 참사 희생자 502명의 이름이 새겨진 ‘삼풍백화점 참사 위령탑’을 찾아 추모했다.

이래철 한국재난정보학회 회장은 “서울시는 삼풍백화점 참사 직후 유족들에게 사고 현장에 위령탑을 마련해 주겠다고 약속했으나 예산 부족과 일부 주민의 반대로 무산됐기 때문에 이곳 양재시민의숲에 위령탑이 세워졌다”며 “삼풍백화점 참사 현장에 마땅히 희생자 위령탑이 세워졌어야 대한민국의 안전 수준이 획기적으로 높아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래철 회장은 또 “삼풍백화점은 설계, 시공부터 부실공사로 지어졌고 유지관리 과정에서도 무리한 증축과 확장 공사를 거듭하는 등 총체적인 부실이었다. 무리한 용도 변경 등을 눈감아준 구청 공무원의 부정부패도 드러났다”며 “경영진이 사고 두달 전부터 있었던 각종 붕괴 조짐에 응급조치로만 대응하고 사고 당일에도 대피나 건물 폐쇄 등을 지시하지 않고 안이하게 대응했던 것도 피해 규모를 키웠다”고 회고했다.

이 회장은 특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안전에 대한 역사적 큰 교훈’으로 삼아야 될 ‘참사 위령탑’이 삼풍백화점 참사 현장에 없고 ‘양재 시민의 숲’에 세워져 ‘안전에 대한 역사적 큰 교훈’이 ‘안전에 대한 역사적 큰 자산’으로 작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위령탑을 찾아 참배하면서 탑 주변을 자세히 둘러 봤는 데 위령탑에 대한 시설관리도 엉망인 상태로 상당히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1994년 10월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일선 구청에 각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지시해 삼풍백화점도 1994년 10월과 11월, 1995년 3월 세 차례나 서초구청으로부터 안전점검을 받았으나 안전점검에서는 전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됐었다.

김태환 한국재난정보학회 수석부회장은 “1995년 11월8일 서울지검은 ‘삼풍 붕괴 백서’를 발표했는데 검찰은 이 사고를 설계 결함, 부실시공, 유지관리의 과오 등 여러 부실 요인들이 5년여에 걸쳐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난 ‘전형적인 인재’로 결론지었다”며 “부실 설계, 시공에 의한 인재로 사고원인이 매우 복합적으로 설계와 시공 부실, 유지관리 부실, 건축주의 독선, 부정부패와 뇌물 관행을 기본으로 한 건설업계의 비리 등 총체적 부실의 결과였다”고 아쉬워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