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청장 정문호)은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 불조심 표어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1946년부터 사용된 ‘너도나도 불조심 자나깨나 불조심’과 ‘꺼진 불도 다시 보자’라고 7월3일 밝혔다.

이 표어는 당시 서울시 소방국 선전계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이 두 가지를 조합하여 ‘자나깨나 불조심 꺼진불도 다시보자’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 표어는 1970년대까지 거의 독보적으로 사용됐으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어 나이로 치면 74세나 됐다.

사람에게 가장 기억에 남거나 알고 있는 불조심 표어를 말해보라고 하면 상당수가 ‘자나깨나 불조심’과 ‘꺼진 불도 다시 보자’라고 답할 정도로 우리나라 사람에게 너무 익숙하다.

이 밖에도 1946년에는 ‘잠깐 실수가 일생의 불행’, ‘깨끗한 부뚜막에 불이 안 난다’도 함께 사용했다.

1946년부터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불조심 표어와 포스터를 공모해서 활용하기 시작했는데 경성부 소방총사령부가 1등 상금으로 500원을 걸고 공모한 것이 처음이다.

1947년에는 당시 서울시 소방국이 공모전을 통해 △불조심 내가먼저 △불조심하고 오늘도 안면(安眠) △불조심은 조선의 힘 △믿는 곳에 불이 난다 △불내고 원망듣고 죄 받고 등 다섯 작품을 선정하기도 했다.

서울시가 실시한 1957년 공모전에서는 △불피고 불조심 불끄고 불조심 △너도나도 불조심 집집마다 불조심 △불내고 울지말고 울기전에 불조심 등 세 작품을 선정했다.

1970년대부터는 중앙부처는 물론 지방의 소방서에서 겨울철을 앞두고 불조심 표어와 포스터를 공모를 정례화했는데 그 중 규모가 가장 큰 것은 당시 내무부(소방국)가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소방안전협회(현, 한국소방안전원)와 공동으로 주관하는 공모전으로 지금도 매년 시행되고 있다.

소방청 조선호 대변인은 “불조심과 관련된 표어, 포스터, 체험수기나 소설 등과 같은 문학과 예술작품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다”며 “외국 소방기관과의 작품 교류를 통해 ‘세계 불조심 포스터·표어 전시회’ 같은 기획행사를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