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재난성 전염병으로부터 강력한 방어능력을 갖춘 ‘방역강화 농장모델’을 제시했다고 9월28일 밝혔다.

올해 2월부터 8월까지 경기연구원을 통해 ‘ASF 발생에 따른 농장단위 예방 및 대응모델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한 결과다.

이번 연구는 ASF의 재발방지와 원천적인 차단 방역을 위한 농장 중심의 ‘자율 방역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에 따라 양돈농장마다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농장모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진사례 연구, 위험 요소 분석 등은 물론, 수의사·농장대표 등과의 협의로 농장 방역에 필요한 요건을 선정하는 데 힘썼다.

연구에서 제시된 ‘방역강화 농장모델’을 살펴보면, 내·외부 울타리를 설치해 구역을 나누고, 내부 울타리 안에서도 돈사경계를 기준으로 준청결구역과 청결구역으로 나눠 관리의 효율화를 꾀했다.

또 차량과 사람, 사료 등이 드나드는 통로를 구분하도록 하고, 농장 내에 방역실, 밀폐형 돼지이동통로, 차량 및 사람 대상 소독시설, 축산폐기물 보관시설, 입출하대, 물품반입시설 등을 함께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특히 이 모델은 올해 10월 중 시행예정인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농장들이 반드시 설치해야 할 내·외부 울타리, 방조·방충망, 방역실 등 11개 방역시설들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표준모델 적용 시 정책효과를 경제적으로 분석한 결과 충분히 타당한 것으로 입증됐다. 야생멧돼지 개체 수에 따라 낙관(연평균 개체수의 30% 이하), 중립(31∼70%), 보수(71% 이상)로 시나리오를 설정, ASF 발생확률에 따른 비용 대비편익분석 결과 각각 2.12, 2.26, 2.29로 모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비용대비 편익분석 결과 1.0 이상 이면 유효)됐기 때문이다.

이 같은 모델제시와 더불어 현장중심의 차단방역, 농장단위 방역시설 개선 컨설팅·교육, 지역단위 방역전략 수립, 야생멧돼지 감염확산 억제, 북한과의 공동방역체계 구축 등을 함께 실시할 것을 함께 제안했다.

도는 연구결과를 중앙부처에 건의해 관련 예산을 확보, 경기북부를 우선으로 강화모델이 적용된 신축농장들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기존농장은 표준모델을 참고해 농장구획 등의 시설보완을 추진한다.

경기도청 최권락 동물방역위생과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농장 중심의 예방적 차단방역이 가장 효과적이고 원천적인 해결방법”이라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방역시설 개선 지원, 농장별 맞춤형 컨설팅 등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고 농가에서도 방역시설 강화에 적극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