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정부(전 청와대 NSC 위기관리센터)에서 근무하면서 위기관리 매뉴얼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한 위기관리 목표의 설정 부분은 주로 각 위기유형별로 피해의 예방, 피해 확산의 억제와 조기 정상화 등 눈에 보이는 현상이나 조치결과 기대되는 내용들이었다.

▲ 안철현 한국위기관리전략연구소 부소장
예를 들면 신종플루ㆍ조류독감과 같은 경우 사람과 가축 전염병의 발병, 확산의 억제, 전염 가축의 살처분과 유통금지 등 가시적 측면을 위기관리 목표로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위기유형인 신종플루 사안을 접하면서 나타난 피해 현상이나 기대되는 조치의 결과만을 위기관리의 목표로 설정하는 위기관리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게 됐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국가와 사회는 각 분야와 기능 간에 밀접하고 복잡하게 연관돼 상호작용하고 그 과정에서 당초 예상치 못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ㆍ영향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기관리가 위에서 보듯 발병과 확산의 억제, 전염 가축의 살처분과 유통 금지 등 가시적 측면만을 목표로 자원과 조치를 집중한다면 발병과 확산에 따른 심리적 불안과 소비ㆍ행동 위축이 심할 것이다.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국가신인도 실추 등 중요한 파급영향들이 위기관리의 대상이 되지 못해 결과적으로 핵심적인 내용이 누락된 위기관리가 될 여지가 높다.

따라서 우리는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구분 없이 지금까지의 가시적 현상과 기대수준 중심으로 이뤄지던 위기관리목표설정 관행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조직과 사회 전반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파급영향까지도 포함되는 목표설정이 되도록 시야를 넓히고 관점을 새로이 가져야 할 것으로 본다.

안철현 한국위기관리전략연구소 부소장 achvision@commkorea.com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