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소방공무원들이 건강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외상후스트레스(이하 PTSD)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1명은 PTSD 위험군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 5년간 극심한 스트레스 등 각종 외부요인으로 인해 자살한 소방공무원은 총 32명이었으며 2009년과 2011년에는 순직자보다 자살자가 더 많았다.

진선미 국회의원(민주당, 비례대표, 안전행정위원회)은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지료인 ‘2012년 소방공무원의 특수건강진단 PTSD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설문조사 실시인원 총 3만2112명(전체 소방공무원 3만6895명의 87%) 중 13.9%인 4462명의 소방공무원이 PTSD 위험군으로 나타났다고 9월8일 밝혔다.

특히 부산과 인천 소방공무원 2명 중 1명은 PTSD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부산은 2548명 중 51.3%인 1306명이 인천은 2223명 중 48.5%인 1079명이 PTSD 위험군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위험군 4462명의 53.5%에 해당한다.

2009년, 2011년에는 순직자보다 자살자가 더 많아 PTSD 증후군으로 인한 부작용은 국민안전은 물론 소방관 개개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적인 예로 최근 5년간 소방공무원 중 순직자와 자살자를 비교해보면 업무 중 순직한 소방공무원이 총 35명인데 반해 극심한 스트레스 등 각종 외부요인으로 인해 자살한 소방공무원 수가 3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직자와 자살자의 차이가 3명에 불과해 소방공무원들의 정신건강 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2009년(9명)과 2011년(9명)에는 순직자보다 자살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지난 1989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PTSD 관리체계를 구축했고 국가보훈처 산하 PTSD센터를 설립·운영 중에 있다. 일본은 지역마다 ‘소방공무원 건강관리 규정’을 마련해 소방공무원들의 정신건강 관리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동경 소방청에는 정신과전문의가 상주해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있으며 고베시는 ‘효고현 재난스트레스센터’를 설립해 지방정부 차원의 체계적 관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소방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기본법’이 제정됐다. 법 제정 후 소방방재청은 소방공무원들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지만 아직까지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이 미흡한 상황이다.

진선미 의원은 “소방공무원은 업무특성상 외상사건에 노출될 위험이 높고 소방·구급 활동의 증가, 3교대 근무, 비상출동 등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심리적 외상에 대한 면역력이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또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켜주는 소방공무원들의 건강은 국가가 책임져야하고 국가차원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 관리체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대안 마련에 주력 하겠다”고 말했다.

세이프투데이 윤성규 기자(sky@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