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농 간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마을사업’이 마을의 역량과 의지에 따라 격차가 커지고 있는 만큼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8월22일 충남발전연구원 성태규 연구실장이 발표한 “충청남도 정보화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충남리포트 57호)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시작된 ‘정보화마을사업’으로 충남 36개를 포함해 현재 전국에 362개의 정보화마을이 조성·운영되고 있다”면서 “이 사업으로 인해 도·농 간 정보격차가 해소되고 온·오프라인을 통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와 전자상거래를 통한 마을 주민 소득 향상에 일정부문 기여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성 연구실장은 “특히 정보화마을 홈페이지(www.invil.org)를 통한 특산품 및 체험상품 구매 등의 전자상거래 판매실적은 2006년 29.2억원에서 2010년에는 209억원으로 7.2배 성장했고 이를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인빌쇼핑 판매실적은 동 기간 23.5억원에서 133.9억으로 연평균 113.6%, 인빌체험은 5.6억원에서 75.3억원으로 연평균 264.4%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농수산물의 특성상 생산시기, 보관, 운송 등 전자상거래에 부적합한 특산물이 상당하고 주민들의 상거래 인식 부족으로 사업 초기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성급하게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보화마을사업 추진상에서 제기되고 있는 ▲획일적 정보화 교육 ▲노후화된 PC와 정보화 인식 부족 ▲정보화마을 간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 해결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보화마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운영위원회와 마을정보센터의 효율적 운영이 반드시 필요한데, 생업에 종사하며 마을운영을 이끌어가야 하는 문제를 비롯해 마을운영을 둘러싼 불신과 갈등 발생의 소지가 많고 마을 자체에서 마련해야 하는 센터운영비가 넉넉지 않아 사업 운영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성 연구실장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여 일상근무시간 이외에도 정보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마을 프로그램관리자(정보화교육 등 담당)의 특근제나 탄력근무제를 적용하거나 이직을 최소화하기 위한 근무여건 개선이 시급하고 정보화마을별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개발과 홍보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리고 “정보화마을사업이 점차 정보격차 해소보다는 전자상거래 등 소득 증대 차원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녹색농촌체험마을’이나 ‘어촌체험마을’과 같은 유사사업과의 연계·통합을 시도, 정보화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도록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자체는 형평성 원칙에 따라 관련 유사사업을 마을별로 분산해서 추진하기 보다는 사업의 효율성과 주민의 자발적 참여의지를 기준으로 농어민의 삶의 질 향상 관련 사업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등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세이프투데이 전영신 전문기자(tigersin@safetoday.kr)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