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사고 예방 등 먹는물 안전관리를 위해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제거방법 연구결과 및 지난해 노로바이러스 실태조사결과를 3월2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소독되지 않은 지하수에서 노로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제거방법을 연구한 결과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소독제인 염소의 경우 잔류염소 0.2~0.5ppm 정도에서 뮤린노로바이러스가 99.99%(4 log) 제거됐고 유전물질도 평균 97.2%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양전하를 띠고 있는 바이러스필터는 폴리오바이러스와 대장균을 모두 99.9%(3 log) 이상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뮤린노로바이러스와 폴리오바이러스에 자외선을 18.8 mJ/㎠과 112.5 mJ/㎠로 처리할 경우 유전물질은 검출됐으나 바이러스는 각각 99.98%(3.7 log)와 99.99997%(6.5 log) 이상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노로바이러스는 세포배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감염성 분석을 위해 세포배양이 가능하면서 사람노로바이러스와 형태가 유사한 뮤린노로바이러스와 폴리오바이러스로 대신 실험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를 수돗물 정수처리기준(바이러스 제거율 99.99%, 4 log) 이상으로 안전하게 제거하고 염소냄새를 최소화해 거부감 없는 맛있는 먹는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개별방법을 조합한 복합처리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복합처리기술이란 염소, 자외선, 바이러스필터, 오존, 활성탄 등 개별방법을 지하수 수질특성에 적합하도록 2개 이상 조합하는 처리방법을 말한다.

올해에도 복합처리기술을 현장에 설치해 적용성을 평가 한 후 소규모 수도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의 지하수에 대해 보급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돗물 바이러스기준은 정수처리기술기준(TT, Treatment Technique)에 따라 99.99%(4 log) 이상 제거토록 규정돼 있다.  

한편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검출이 우려되는 지하수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지난해 지하수 원수 중 노로바이러스 실태조사(연 2회)결과 전체 206개 조사시료 중 39개에서 유전자가 검출(18.9%)돼 지난 2008년 조사된 17.3%(600개중 104개 시료 검출)보다 다소 높게 검출됐다.

환경부는 노로바이러스 유전자가 지하수 원수에서 검출된 지점에 대해 해당 지자체 및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유관기관에 통보해 지하수 원수의 음용금지, 청소, 염소소독, 정수처리 등을 실시한 후에 사용토록 조치를 하는 한편 상수도 보급 방안을 추진토록 했다.

유전자검출은 노로바이러스 존재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바이러스의 생존 및 직접적인 감염성 여부 확인은 어렵다. 

식약청 등 유관기관에서 실시한 지하수 원수 중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지점의 꼭지수 검사결과 노로바이러스 검출지점은 없으며 현재까지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검출지점에서 식중독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지하수 원수 중 노로바이러스 검출 39개 지점중 38개의 꼭지수에서는 검출지점이 없으며 1개소는 지하수 원수에 대해 재검사중이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오는 2012년까지 전국 6개 권역별로 노로바이러스 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 먹는물(지하수) 수질감시항목으로 설정(2010년 6월)하는 한편 지하수 원수 중 노로바이러스 오염실태 모니터링 및 제거기술의 개발·보급을 지속해 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분석시스템 구축은 수도권·경기권·강원권·충청권·낙동강권·영산강권(제주포함) 등 6개권역으로 구분하고 올해에는 영산강, 낙동강권역 등에 우선적으로 분석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지하수 오염에 취약한 농촌지역 마을상수도 등 소규모 수도시설 개선사업으로 오는 2014년까지 8686억원을 투입하고 지하수 오염요인이 될 수 있는 농어촌지역 마을하수도의 정비를 위해 2015년까지 2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