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국 철원소방서 소방행정과장
화재진압에 있어 소방용수는 대단히 중요하다. 화재진압 활동에 필요한 물을 보충받기 위해서 대부분의 경우 상수도 배관에 연결되는 소화전을 이용하고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소방용수를 저장해 둔 저수조시설이나 인근에 있는 하천이나 저수지 등 자연수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심에서 외곽지역으로 나갈수록 소방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 상수도배관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많고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자연수리 이용 장소가 아주 멀거나 시기적으로 수량이나 유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방용수 확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 자연수 흡수시설(Saugstelle) = 자연수 취수를 위한 이 시설은 미국의 건식소화전(Dry Hydrant)이라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아직 우리나라에는 없는 시설이다. 적정장소를 찾아 이동해 여러 개의 흡수관을 연결해 취수하게 되면 시간도 많이 걸리고 대원도 여러 명 필요한 데 미리 자연수원에 소방차 접근이 쉬운 평지까지 흡수를 쉽게 하는 관을 미리 연결해 놓게 되면 적은 인원으로도 작업이 쉽고 빨라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 사진 1 지상노출식 자연수리 취수연결관을 이용한 흡수작업(사진, 독일 게셔 유소년소방대)

사진 1과 2 같이 설치된 이 시설은 미리 설치돼 있는 연결구에 흡수관을 연결해 물을 뽑아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연결관은 지하매립 또는 지상노출방식으로 자연수리와 연결되고 물속 흡수구 끝단에는 여과망이 설치돼 있다.

▲ 사진 2 매립형 자연수 흡수시설(사진, 독일 오스트프리스란트 소방대 연합)

◆ 저수조(Löschwasserbehälter) = 저수조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도시지역의 큰 대상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유럽에서는 도시외곽의 작은 마을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아래 사진 3과 같이 오스트리아 사례는 상수도가 들어가지 않는 외곽지역에 13채 단독주택과 14개 농장의 화재진압에 사용할 소방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10만 리터 용량의 저수조를 설치한 것이다.

▲ 사진 3 오스트리아 오지의 공용 소화저수조 – 흡수구 및 급수구(사진, 그리스키르헨지구 소방대)

상수도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방차로 평상시에 물을 채워뒀다가 화재 등 유사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사용한 양만큼 물을 채워두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이 사례의 경우에는 주민과 많은 소방대원들이 동원돼 인근 1.6Km 소화전으로부터 많은 소방호스를 연결해 충수했다. 한편, 폴란드는 산불진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의 저수조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 사진 4 노천 고무튜브형 저수조 6만리터 짜리 2개(사진, 독일 온라인 신문 come-on.de)

일반적으로 저수조는 지하에 매설하는 것인 데, 좀 특이한 방식으로 저수조를 설치한 경우가 있다. 독일 중서부에 위치한 인구 2만의 작은 도시 마이너차겐(Meinerzhagen)에서는 자연재해로 상수도망이 파손되는 경험을 하고 나서 대형 고무튜브에 물을 채운 6만 리터 규모의 노천 저수조 2개를 설치했다. 상수도망의 손상 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목적도 있지만 주된 목적은 소방용수 공급이다.

◆ 소화수 관정(Löschwasserbrunnen) = 독일은 상수도가 없는 지역에 자연수리 여건이 좋지 않으면 주로 관정을 파서 펌프를 이용해 소방용수를 취수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시설의 운영방식은 크게 자체에 설치된 전기펌프를 이용하는 방식과 지상에서 소방차 또는 동력소방펌프의 흡입력으로 취수하는 방식 2가지로 구분되는데 혼용하는 방식도 많다.

상용전기가 연결되지 않는 곳이 많아 소방차의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기를 공급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사진 5 60m 관정을 뚫어 소방차의 발전기 전원공급으로 모터로 구동되는 소화전(사진, 독일 탭힌 소방대)

▲ 사진 6 소방차 발전기 전원공급 모터가동 또는 펌프 흡입으로 취수(사진, 독일 에델락 소방대)
참고로 우리나라와 달리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방펌프차량에는 발전기가 기본 적재돼 있는데 주된 용도는 야간 소방활동 시 안전에 충분한 조명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토출용량에 따라 크게 이 시설은 3단계로 성능이 구분되고 있다.
하급 : 400 ~ 800 l/min
중급 : 800 ~ 1.600 l/min
상급 : 1.600 l/min~

관련 시설의 설치와 관련해서 DIN 14220에서 설치요건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고정된 진출입로를 설치해야 한다.
2. 훼손을 방지하는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3. 상시 접근하여 사용가능해야 한다.
4. 지하수면 아래쪽에 취수구를 둔 경우 지상 연결구를 통해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차단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이렇게 소방용수 확보를 위해 관정을 뚫는 것은 외떨어진 시골마을에서만 있는 일은 아니다. 2013년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의 남쪽에 위치한 유터복(Jüterbog)이라는 곳에서 많은 관정을 뚫는 문제가 큰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이곳은 주민수가 1만2300여명에 불과한 작은 도시로 예산 사정이 넉넉지 않았지만 200m 간격의 소화용수 시설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 도시에 상수도망 여건과 역사적인 시설물이 많은 문제로 소방용수 취수용 관정을 100개나 더 뚫어야 했던 것이다.

재정부담으로 인해 정부에 법을 고치거나 예산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독일 등 유럽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소방용수 시설을 운영하면서 이를 빠르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를 다음과 같이 표준화해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 표시방법은 독일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인근의 오스트리아나 크로아티아 등 다른 국가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표지를 볼 수 있다. 표지는 주로 벽면이나 기둥을 세워 설치되고 있으며, 쉽게 소방용수를 취수할 수 있는 곳을 알려주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주차 등으로 인해 사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알리는 기능도 병행되고 있다.

지상식 소화전은 눈에 잘 띄기 때문에 별도로 위치를 안내하는 표지는 없다. 참고로 독일에서는 도로나 보도의 공간 활용이나 미관상의 이유로 지하식 소화전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 독일의 소방용수 시설 안내 표지(그림, 독일 니더작센 소방재난학교)

▲ ● 시설종류 : 자연수 흡수시설, 취수구 위치(표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7.3m, 앞쪽으로 2.5m
▲ ● 시설종류 : 저수조, 취수구 위치(표지위치로부터), 좌측으로 12.5m, 앞쪽으로 9.8m
▲ ● 시설종류 : 지하식 소화전, 취수구 위치(표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12.5m, 앞쪽으로 6.5m

소방용수시설의 발전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은 1666년 영국 런던 대화재 대참사 이후 도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소화전이 등장한 것이다.

당시에는 바닥을 파서 템즈강에서 끌어온 물이 지나는 땅속 목재 상수도 배관을 찾아 구멍을 뚫어 흘러나와 고인 물을 사용해야 했지만 땅속 배관의 위치를 알 수 없어 여러 곳을 파내면서 찾아야 했고 배관을 찾아도 구멍을 따로 뚫어야 했기에 제때 사용을 못해 피해를 키운 원인이 됐다.

▲ ● 시설종류 : 소화수관정(지상펌프흡수), 취수구 위치(표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12m, 앞쪽으로 6.4m
▲ ● 시설종류 : 소화수 관정(지하펌프구동), 취수구 위치(표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7m, 앞쪽으로 5.3m
그래서 화재 이후 미리 구멍을 뚫고 땅속으로 올라오는 긴 나무막대를 꽂아 필요 시 땅위에서 쉽게 찾고 막대를 빼내 물을 쉽게 사용하도록 했는데, 소화전(Fire Plug)은 바로 꽂았다 뺐다 할 수 있는 이 막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단순한 막대기였지만 화재 시 신속한 소방용수공급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줬고 화재진압활동의 효과를 높여 줬다.

이처럼 시대와 상관없이 화재진압에 있어 소방용수시설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고, 앞서 언급한 해외의 사례들처럼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방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려는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2018년 2월19일
조현국 철원소방서 소방행정과장

 

저작권자 © 세이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